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ADBI)와 국제컨퍼런스
“Innova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공동 주최 및 학술발표 진행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는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ADBI), Lincoln University 및 저명 국제학술지(The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China Agricultural Economic Review,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등과 함께 2025년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 ADBI 본부에서 개최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을 공동 주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식품 신통상 전략 수립과 국제 공조방안 개발」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개최된 것으로, 해당 과제는 2025년 4월 고려대학교와 GSnJ 인스티튜트가 공동으로 수급하여 임송수 교수(연구책임자)의 총괄 하에 수행 중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농식품 신통상 전략과 SPS 제도 등 국제 농식품 무역 이슈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논의를 심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또한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와 ADBI는 올해 초 연구협력 및 성과 공유를 위해 MOU를 체결하고 이를 통해 향후 지속적인 공동연구와 국제 세미나 개최를 추진 중이다.
ADBI 국제 컨퍼런스는 Bambang Brodjonegoro 학장(ADBI), Dil Rahut 박사(ADBI Senior Economist), Wanglin Ma 교수(Lincoln University), 임송수 교수(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Raja Timilsina 박사(ADBI Junior Economist), Ngawang Dendup 박사(ADBI Junior Economist) 등 6인이 공동 주최자(Organizers)로서 기획되었다. 발제 내용은 농업과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혁신적 접근을 주제로 고부가가치 농업, SPS(위생 및 식물위생) 제도, 순환바이오경제, 전자상거래, 농촌 주민의 복지 등 다양한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컨퍼런스에는 아시아 17개국을 포함한 전 세계 20여 개국 이상의 학자 및 정책전문가 약 70여 명이 참여하였다.
고려대학교는 이번 행사에서 공동 주최 기관으로 참여하였으며 임송수 교수가 공동 주최자로서 전체 프로그램의 기획에 참여하고 두 개의 세션에서 발표와 좌장을 맡았다. 특히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대학원생 4명이 발표자로 참여하여 국제무대에서 연구성과를 공유하였다.
9월 23일에 진행된 “: Navigating SPS Measures in Asia: Trends, Opportunities, and Policy Responses in Agri-Food Trade” 세션에서는 김대의 박사과정이 “Trade and Price Impacts of SPS Measure Expansion: The Case of Korea’s Frozen Shrimp Imports”를, 송주미 박사과정이 “Cross-Country Heterogeneity in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An Empirical Analysis of Patterns across Income Groups and Sectors”를 발표하였다. 또한 GSnJ 인스티튜트의 서진교 원장이 “Recent Discussions on “Policy Space” Within the WTO: Policy Implications for Asian Countries”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같은 날 오후 열린 “Korean Case Study Session: Governance and Preferences in Global Food Trade: SPS Challenges and Consumer Perspectives” 세션에서는 김창민 박사과정이 “Network Structure and Thematic Dynamics of Global SPS Trade Disputes, 2004–2023”을, 임송수 교수가 “SPS Regimes in Korea and East Asia: A Literature Review-Based Comparative Analysis of Regulatory Frameworks and Harmonization Challenges”를, 정선우 석사과정이 “Consumer Preferences and Cultural Proximity: Evidence from Korean Fresh Fruit Perceptions in Chile”를, 송주미 박사과정이 “Consumer Preferences for Korean Fresh Fruits in Peru: Cultural Influence and Purchase Intention”을 각각 발표하였다. 본 세션은 고려대학교가 직접 기획·운영한 세션으로, SPS 제도의 거버넌스, 농식품 소비자 선호, 문화적 근접성 등 농식품 무역의 비가격 요인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임송수 교수는 9월 24일에 열린 “E-commerce for Ru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세션의 좌장(Session Chair)으로 참여하여, 농촌지역의 디지털 포용과 전자상거래 발전이 농업 생산성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토론을 주재하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고려대학교가 공동 주최 기관으로 참여한 최초의 ADBI 국제행사로, 우리 학과 연구진이 SPS 제도, 비관세장벽, 농식품 무역 거버넌스, 소비자 선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학문적 교류를 확장한 뜻깊은 자리였다.
더불어 Dil Rahut 시니어 이코노미스트와 Raja Timilsina 박사는 오는 10월 29일-11월 1일 식품자원경제학과를 방문하여 앞으로 학술행사 공동 개최, 컨퍼런스 논문책자 발간 및 연구 네트워크 강화 방안 등에 관해 함께 논의하고 학술 및 인적 교류를 이어갈 예정이다.
1. 컨퍼런스 단체 사진
2. 컨퍼런스에 참여한 고려대학교 연구진
왼쪽부터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임송수, 석사과정 정선우, 박사과정 송주미, 박사과정 김대의, 박사과정 김창민(위)
3. 박사과정 김대의 발표
4. 박사과정 송주미 발표
5. 박사과정 김창민 발표
6. 임송수 교수 발표
7. 석사과정 정선우 발표